반응형

노후에는 젊은시절 쌓아둔 자산으로

꾸준한 현금흐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걱정없는 노후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이에 특화한 ETF 상품을 소개한다.

 

1. JEPI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가. 운용전략

 

이 펀드는 낮은 변동성으로

꾸준한 월배당을 목표로 한다.

 

커버드 콜 전략을 사용한다.

 

커버드 콜 전략은

주식을 보유하면서 주가하락에 대비해 콜옵션을 매도하는 전략이다.

콜옵션을 매도하면 주가가 하락하거나 횡보하면

수익이 난다.

즉 주가가 상승하면 주식을 팔아서 수익을 내고

주가가 횡보하거나 하락하면 콜옵션을 매도해서 수익을 내서

배당금을 지급한다.

 

나. 수수료

펀드수수료는 연 0.35%이다.

 

다. 배당금

최근 1년간 월 배당 평균은 $0.53, 연배당은 $6.42이다.

이를 2023.2.20. 현재 주가  $54.9로 나눌경우

연 11.7%의 배당수익률이 나온다.

배당금이 불규칙한 것이 단점이고

원/달러 환율의 영향을 받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이다.

 

라. 주가흐름

다음은 JEPI의 월봉차트이다.

최근 인플레이션으로 가격이 많이 하락했음을 알 수 있다.

 

달러가 쌀때 달러를 사서 JEPI를 매수하고

달러가 비쌀때 배당금을 원화로 환전하면

환차익도 얻을 수 있다.

 

마. 상품상세 페이지 링크

https://am.jpmorgan.com/us/en/asset-management/adv/products/jpmorgan-equity-premium-income-etf-etf-shares-46641q332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ETF Shares | JEPI | J.P. Morgan Asset Management

 

am.jpmorgan.com

 

2. QYLD (Nasdaq 100 Covered Call ETF)

 

가. 운용전략

미래에셋에서 인수한 미국 소재 Global X가 운용하는 상품이다.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위 JEPI와 동일하다.

다만 QYLD는 콜옵션을 매도하는 JEPI와 달리 매수전략도 사용한다.

 

JEPI는 S&P500 지수에 속하는 대형회사의 주식을 보유하나

QYLD는 나스닥 100 지수에 속하는

기술 회사 위주의 주식을 보유한다.

 

2013년부터 운영되어 상당한 역사를 가진 ETF이다.

 

나. 수수료

펀드 운용수수료는 연 0.6%이다.

JEPI 0.35%보다 약 2배 수준이다.

 

다. 배당금

2023.2.26. 현대 배당수익률은 13.26%이다.

월배당을 한다.

배당이력을 보면 최근 배당금이 감소중인걸 알 수 있다.

 

콜옵션을 매도뿐만 아니라 매수까지 하는 점

최근 나스닥이 많이 하락한 점이 반영된 결과가 아닌가 싶다.

 

라. 주가흐름

다음은 JEPI의 2014년 이후 월봉 차트이다.

배당수익률은 높으나

장기적으로 우하향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진입시점을 잘 선택하는 것이

본인의 자본을 지키는 길임을 말해준다.

 

마. 상품상세 페이지 링크

https://www.globalxetfs.com/funds/qyld/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 (QYLD)

The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 (QYLD) follows a “covered call” or “buy-write” strategy, in which the Fund buys the stocks in the Nasdaq 100 Index and “writes” or “sells” corresponding call options on the same index.

www.globalxetfs.com

 

3. KBSTAR 200고배당커버드콜ATM(290080)

 

가. 운용전략

KB증권과 NH투자증권에서 공동으로 운용하는 상품이다.

우리나라 회사가 운용하므로 원화로 투자가 가능하다.

기초자산은 코스피200에 속하는 고배당주이다.

고배당주를 편입시켜

월 배당금 규모를 키우려는 의도로 보인다.

역시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한다.

 

나. 수수료

연 보수는 0.4%로 JEPI 0.35%와 유사하다.

 

다. 배당금

배당금은 월평균 55원 수준으로

상당히 안정적으로 지급되고 있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660원이다.

이를 2023.2.26. 현재 주당 가격 7,755원으로 나누면

배당수익률은 8.5% 수준이다.

 

라. 주가흐름

다음은 월봉차트이다.

등락을 반복하므로

가급적 쌀때 사서 배당수익률을 높이는 것이

좋은 전략인듯 보인다.

 

예를 들어 배당수익률이 8% 이상일 때만 매수하는 전략이다.

 

마. 상세 홈페이지 링크

http://www.kbstaretf.com/prod/finderDetail/4478?searchFlag=viewtab1 

 

KBSTAR 200고배당커버드콜ATM - KBSTAR ETF

KBSTAR 200고배당커버드콜ATM4478코스피200 고배당지수 종목 매수와 코스피200콜옵션 매도로 꾸준한 인컴 수익 고배당 및 옵션프리미엄을 추구하는 지수를 추종하는 ETF

www.kbstaretf.com

 

4. TIGER 200 커버드콜 ATM(289480)

 

가. 개요

미래에셋, NH투자증권, 키움증권에서 공동으로 운용하는 상품이다.

2018.2.8. 상장되었다.

기초자산으로 코스피200 지수에 들어가는 회사의 주식을 보유한다.

원화로 투자가 가능하다.

 

나. 수수료

펀수보수는 연 0.38%로 JEPI 0.35%와 유사하다.

위 KB STAR 0.4%보다는 싸다.

 

다. 배당금

배당금 지급현황은 다음과 같다.

월배당을 한다.

최근 월평균 60원을 안정적으로 지급한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720원이다.

이를 1주당 주가 8,795원으로 나누면

배당수익률은 연 8.2% 수준이다.

위 KB STAR와 유사하다.

 

라. 주가흐름

다음은 월봉차트이다.

등락을 반복하고 있어

가급적 쌀때 사

배당수익률을 높이는 전략이 유효할 듯 하다.

 

마. 상세 페이지 링크

https://www.tigeretf.com/ko/product/search/detail/index.do?ksdFund=KR7289480006&fundTypeCode=01000500 

 

미래에셋 TIGER ETF

미래에셋 TIGER ETF 공식홈페이지, 시장대표지수 및 다양한 섹터, 테마 등 국내에서 글로벌까지 ETF투자솔루션 제공

www.tigeretf.com

 

5. 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가. 개요

미국 찰스슈왑 은행에서 운영한다.

 

동종기업에 비해 펀더멘털이 좋고

배당을 지속적으로 지급한 기록이 있는 

미국내 고배당 주식을 보유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이와 동일한 전략을 구하는 한국내 ETF는

다음과 같다.

달러가 쌀때는 SCHD를 매수하고

달러가 비쌀때는 우리나라 ETF를 매수하는 것도 좋은 전략일 듯 하다.

 

나. 수수료

펀드운용수수료는 0.06%로 저렴하다.

JEPI 0.35%의 17% 수준이다.

 

다. 배당금

배당금은 분기별로 연 4회 지급한다.

연환산 배당수익률은 3.35% 수준이다.

 

월배당 또는 고배당과는 거리가 있으나

아래 표와 같이 배당금이 매년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장기보유할수록 배당금이 커져

배당수익률이 높아감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금 100만원에 연배당 3만원을 준다면 

현재는 배당수익률이 3%이지만

배당금이 꾸준히 증가하여 10년후에는 6만원,

20년후에는 12만원을 준다면

10년후에는 6%, 20년후에는 12%가 된다는 의미이다.

 

라. 주가흐름

다음은 월봉차트이다.

배당금이 우상향하므로

주가도 우상향이다.

꾸준히 모아가는 전략이 유효할 듯 하다.

 

마. 상세페이지 링크

https://www.schwabassetmanagement.com/products/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ubscribe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Type: ETFs Symbol: SCHD Expense Ratio: 0.060% Summary Objective The fund’s goal is to track as closely as possible, before fees and expenses, the total return of the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 Highlig

www.schwabassetmanagement.com

 

6. 결론

 

본인이 매월 필요한 생활비에 해당하는 금액은

배당수익률이 10% 수준으로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는 JEPI 등을 매수하고

 

나머지 금액은

배당성장 및 주가상승이 기대되는 SCHD를 매수하여

시간이 갈수록 부자가 되는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반응형
반응형

 

2022년 급락장에서 겪었던 공포가 생각이 납니다.

급등 주식에 혹하시는 분들도 생각납니다.

경제를 잘 모르고 몰빵투자했다가

투자금 날리신 분들도 생각납니다.

내부정보에 의존했다가 손실본 분들도 생각나네요

모두들 반성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인플레이션은 1970년 이야기

필자가 태어날 때 쯤이다.

40대가 된 지금에 기억나지도 않는

옛일이 재발할 줄이야

 

온고지신이라 했다.

과거를 살펴보자

1차 오일쇼크 : 1973년 10월~1974년 3월(6개월) 

제4차 중동전쟁으로 사우디아라비아를 위시한 OPEC의 감산으로

1차 오일쇼크가 발생하였다.

물가상승으로 미국, 영국은 경제에 큰 타격을 입었고

석유기업, 산유국 및 소련은 짭짤한 이득을 얻었다.

 

2차 오일쇼크 : 1978년 12월~1980년 7월(20개월) 

원인은 1978년 12월 이란의 이슬람혁명으로 인한

파업으로 발생한 감산 때문이다.

당시 소련도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면서

유가상승을 부채질하였다.

전세계적으로 물가가 상승하고

실업이 발생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나타났다.

 

S&P500 지수 흐름

1차 오일쇼크 때는

1973년 1월 최고점 121.74였던 지수가

1973년 11월 1차 오일쇼크 발생 후 장대음봉을 그린 후

1974년 10월 60.96까지

50% 하락하였다.

1차 오일쇼크 발생 이후 약 1년간 지수가 빠진 것이다.

현재 반토막 안 난것을 다행으로 여겨야 하나?

 

2차 오일쇼크때는 거의 1년 반동안 지수가 횡보하다가 

오일쇼크가 마무리되자

본격적으로 상승하였다.

 

연준 기준금리

 

1차는 때는 10% 상회하였다가 5~6%까지 다시 내렸고

2차 때는 15~20% 수준이었다가 10%로 내렸다.

정말 무시무시한 때였다.

 

결론

 

1970년대 주가가 인플레이션을 극복하는데

1년에서 1년 반이 걸렸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보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와의 전쟁이

2022.2.24. 발생했으니

빨라도 2023년 3월 정도

늦으면 2023년 9월 정도되어야

미국계좌에 햇빛이 들어오지 않을까 생각된다.

 

한국계좌는 경기를 선반영하니

조금 더 빨리 좋아지지 않을까도

간절히 기대해본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2022년 10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년동기 대비 7.7% 상승했다.(빨간색)

 

변동성이 심한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CPI는 6.3% 상승이다.(초록색)

2022년 10월 소비자물가상승률

 

CPI 상승률 7.7%는 예측치 8.0%를 하회한 숫자다.

CPI 상승률 예측과 실제

 

CPI 상승률은 22년 6월(22.7.13. 발표) 9.1%을 정점으로 한

동안 8%대에서 머물다가

4개월만에 7%대로 내려왔다.

역사적인 날이다.

최근 2년간 CPI 상승률

 

이러한 점들이 투자자들에게

인플레이션에 대한 안도감을 준건지

주식, 암호화폐, 금, 채권 등 대부분의 자산이 급등중이다.

한국시간 2022.11.10. 11:54분 현재 자산가격

 

오랜만에 보는 폭등이나 여전히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먼저, 기준금리는 여전히 4% 수준으로

근원CPI 상승률 6.3%에 미치지 못하므로

향후 금리인상이 계속될 수 있다는 점,

달리 말하면 추세적 주가상승의 전제조건인 금리인하는

시작도 안했다는 점이다.

미국 연방기금금리(기준금리)

 

둘째,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장단기 금리가 여전히 역전되어 있다는 점,

경기침체 가능성이 높아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역전된 장단기(10-2년) 국채금리 차이

셋째, 투자자들이 낙관적이어서 주가가 단기적으로는 비싸졌다는 점이다.

CNN의 Fear & Greed 지수

 

넷째, 석유파동 등으로 인플레이션이 만연했던 1970년대에 비하면

미국 주식의 PER는 여전히 높다는 점이다.

미국주식 역사적 PER

 

다섯째, S&P500차트상 일봉이 100일 이동평균선을 터치하고 있기는 하지만

5일선, 20일선은 여전히 100일선 밑에 있고

200일선도 여전히 하향세라는 점이다.

S&P500 일봉차트
이동평균선 범례

 

조심 또 조심해야겠다.

 

반응형
반응형

< 미국시장의 특성 >

1. 퇴직연금 유입

미국의 퇴직연금 제도(401k)로 인해

근로자 급여의 10% 중 일부가

주식시장으로 들어온다.

 

주식시장에 자금이 꾸준히 들어온다는 것은 

그 시장 참여자의 부를

늘려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ICI(Investment Company Institute) 자료

 

2. 자본시장이 투명하고 공정하다.

주주들을 위한 기업공시가

상세하고 거짓이 없다.

기업을 분석하기 위한 사이트가 많다.

아래 tipranks는 포트폴리오 관리에 용이하다.

https://www.tipranks.com/

 

TipRanks | Stock Market Research, News and Analyst Forecasts

TipRanks stock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lets you see the track record and measured performance of any analyst or blogger, so you know who to trust!

www.tipranks.com

 

아래 stockrow는 기업의 펀더멘털을

그래프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10년치 재무데이터

엑셀로 무료다운받을 수 있다.

https://stockrow.com/

 

stockrow: News, Fundamental Chart, Financials and Stock Screener

13,662.00(248.00) (1.78%)as of

stockrow.com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를 통해

기업실적 등이 영어로 공시되어

크롬을 활용할 경우

영어자동번역을 통해

손쉽게 기업정보 등을 얻을 수 있다.

https://www.sec.gov/edgar/search/#/ciks=0000320193&entityName=Apple%2520Inc.%2520(AAPL)%2520(CIK%25200000320193) 

 

SEC.gov | EDGAR Full Text Search

Principal executive offices in View all SEARCH Clear all

www.sec.gov

크롬 한글 번역 버튼

 

기업이 공시를 잘못하거나

증권사기를 할 경우

증권거래위원회의 조사를 통해

시장에서 영원히 퇴출된다.

2006.10.24.자 한겨레 신문 인터넷 기사

 

3. 시장규모가 커 주가조작이 어렵다

미국기업에 비해

한국 기업은 시가총액이 작아서

코스닥 시장의 소형주 같은 경우

소규모의 자금으로도

주가조작이 가능하다.

2017.2.17. 시사저널 인터넷 기사

 

외국인들은 우리 시장의 큰 손으로

마음만 먹으면

주가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이로 인해 많은 개미들이 손실을 보곤한다.

 

미국 기업은 시가총액이 커서

특정세력이 마음대로 주가를 조작할 수 없다.

주가가 적정가치보다 떨어지면

M&A 등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대주주 등이 함부로 주가를 조정할 수도 없다.

 

 < 정치적 측면 >

4. 정치적 지원

미국은 가계자산의 40.3%(한국은 20.8%)가 주식이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49877.html

 

가계 금융자산 중 주식 비중 20.1%로 감소

한국은행, 1분기 자금순환통계 예금비중은 41.8%로 높아져

www.hani.co.kr

주가가 하락하면

선거에서 패배해

정권을 유지하기 어렵다.

정치권이 주가부양에 힘쓰는 이유이다.

 

5. 기축통화국의 위엄

미국은 기축통화국이다.

미국의 통화인 달러가 전세계에서 통용된다.

반면 우리나라 원화는

해외에서는 종이조각에 불과하다.

 

미국은

경기가 안 좋으면

금리를 내리고 달러를 풀어 경기를 살린다.

 

경기가 좋거나 물가가 상승하면

금리를 올리고 달러를 회수한다.(2022년 상황)

 

미국이 달러를

우리나라와 같은 신흥국에서 자국으로 회수하면

우리나라 주가는 당연히 떨어진다.

삼성전자 등 대형주 주식을 팔아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은 금리를 올려 달러를 회수한다고

무조건 주가가 떨어지지는 않는다.

 

< 기업경영 측면 >

6. 혁신적이고 세계적인 비지니스

미국 대형기업은

초강대국의 힘을 바탕으로

시장을 세계로 확대해 왔다.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미국은 성숙한 자본시장을 바탕으로

청년의 창업을 돕고(신규상장 IPO)

실패에 관대하다

 

페이스북과 같은 많은 혁신기업을 배출되는 이유이다.

페이스북 창업을 모티브로 한 영화 '소셜 네트워크'

 

반면 우리나라는 소수의 대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을 주된 산업으로 하고 있다.

산업의 혁신보다는

값싸고 성능이 높은 제품을 대량생산하는데

기업경영의 초점이 있다.

 

이러한 비지니스 모델은

중국, 베트남 등

인건비가 저렴한 경쟁자의 추격으로

불안정해 가는 모습이다.

 

7. 기업 지배구조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소수의 대주주의 사적이익에

기업의 자원을 소모하지 않는다.

횡령, 배임 등이 적은 이유다.

 

무능력한  CEO는 언제든 교체되고

해고가 자유로워

사내문화가 경쟁적이다.

 

8. 주주친화적 경영

미국은 우리나라와 같은

자본시장의 혼란기를 이미 거쳤다.

성숙한 선진시장으로서

경영진은 소유주인 주주에게 친화적인 경영을 한다.

 

미국기업

오랜기간 배당을 점진적으로 늘리고

분기배당을 하며(한국은 대부분 연간, 일부 반기배당)

자사주를 매입 및 소각하여

주가를 부양한다.

(한국은 배당금이 줄기도 하고

자사주를 매입하더라도

소각하지 않고 다시 매각하기도 한다)

 

미국의 통신기업 AT&T의 주식을

장기간 보유하여

은퇴후 배당소득으로 살아가는

T할아버지가 존재하는 이유다.

 

< 자산배분 및 투자 측면 >

9. 장기 우상향하는 주가

미국 상위 대형주 500개 기업을 모은

S&P500 ETF(종목기호 : SPY)의

장기 주가를 살펴보자

미국 S&P500 대표적 ETF 티커명 SPY의 장기간 주가
미래에셋증권이 만든 S&P500 상품, 한국주식처럼 증권계좌에서 원화로 매입 가능하다

 

반복되는 위기에 따라

부침은 있었지만

장기적으로 우상향하여 왔다.

 

노후를 대비하는 사람들에게는

적금처럼 꾸준히 사 모으는 전략이

통하는 시장이다.

(예시 : 매월 월급날 50만원씩 매수)

 

워렌버핏도 미국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부자가 될 수 있었다.

 

아래는 우리나라 대형주 200개를 모은

코스피200의 가격흐름이다.

장기간 횡보하는 구간이 많다.

개미가 그 기간을 버틸 수 있을까?

 

10. 높은 투자 기대이익

대주주를 제외한

개미들의 경우

한국주식을 매매할 때는

소액의 증권거래세만 부담하면

나머지 매매차익을

고스란히 가져갈 수 있다.

 

반면 미국주식을 거래하면

매매차익(연간 250만원 제외)의 22%를

소득세과 주민세로 내야한다.

 

미국주식의 세부담이 커

돈을 벌어도 남는 것이 없다는 지적이 있다.

 

그러나 투자성공 확률을 적용한

투자이익의 기대값을 산정한다면 이야기가 다르다.

 

필자는 이 글에서 언급한

미국 주식의 특성으로 인해

한국 주식의 성공확률을 40% 수준

미국 주식의 성공확률을 80% 수준으로 본다.

 

100만원을 투자했을 때

세금을 제외한 투자이익의 기대값은 아래와 같다.

  산식 투자이익의 기대값
미국주식 투자금 100*성공확률 0.8*(1-세율 22%) 62.4
한국주식 투자금 100*성공확률 0.4*(1-세율 0.2%) 39.9

 

100만원 투자이익의 기대값은

미국주식 62만원, 한국주식은 40만원 수준으로

미국주식이 양호하다.

 

11. 환 투자가 가능하다.

달러는 화폐이지만

투자대상이기도 한다.

 

달러의 가격은

경제상황, 금리, 미국의 기준금리 등에 따라

다양한 변수로 요동친다.

 

환율 안정을 꾀하려는

정부의 노력 덕분에

달러는 일정 범위(1,000~1300원)에서

가격이 움직인다.

최근 10년간 원달러 환율

 

달러를 쌀 때 사두어(예시 1,100원 이하)

미국 주식에 투자하고

 

달러가 비쌀 때

다시 원화로 환전하면

(예시 : 1,200원 이상)

환차익을 얻을 수 있다.

 

12. 자산의 포트폴리오로 위기대응이 가능하다.

자신의 자산

모두 부동산으로 채운다면

일본의 부동산가격 붕괴같은 사태가

우리나라에서 발생할 경우

유동성 위기에 빠지게 된다.

 

우리나라의 큰 자금이 들어가 있는

부동산 가격이 하락한다면

한국 주가도 당연히 하락하게 된다.

(부동산 대출 상환을 위해 주식을 팔기 때문)

 

한국부동산과 한국주식만을 갖고 있다면

위험을 회피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미국주식을 자산의 일부로 보유하고 있다면

자산의 지역분산 효과가 발생하여

한국의 위기상황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반응형
반응형

어떤 도박에서든

손실을 피하려는 여러분의 마음은 이해합니다만

그러면 손해도 클 겁니다.

 

여러분의 부에 비해

아주 적은 액수가 걸린 꽤 괜찮은 도박을

마주할 기회는 인생에서 많을 겁니다.

 

더러는 따기도 하고 더러는 읽기도 하면서

소소한 도박을 경제적 합리성에 가깝게 한다면

여러분은 큰 금전적 이익을 볼 것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조건이 있습니다.

첫째, 동일한 산업에 동시에 투자를 하면

한꺼번에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둘째, 손실이 발생해도 전 재산을 잃을 염려가 없어야 합니다. 

셋째, 승산이 매우 낮은 도박은 피하십시오

 

당신이 마치 금융시장의 전문거래인처럼 생각하고 행동한다면

손실회피 심리를 없앨 수 있고

손실의 고통을 피하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투자로 얼마나 수익을 내고 있는지

점검하는 횟수를 줄여 재앙을 피하십시오

 

넓은 틀로 시장을 본다면

시간도 절약하고

침통함도 느끼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작은 손실이 빈번이 발생할 때의 고통이

작은 이익이 똑같이 빈번히 발생할 때의 즐거움보다 크기 때문에

요동치는 시장 상황을

시시각각으로 따라가는 것은

손해를 보는 길입니다.(Don't Panic!)

 

개인 투자자는 1분기에 한 번 정도 점검하면 충분하고

어쩌면 그것도 많을 수 있습니다.

 

단기 결과에 일부러 눈길을 주지 않는다면

감정적인 삶의 질을 높일 뿐만 아니라

결정과 결과의 질도 높일 수 있습니다.

 

나쁜 소식에 단기적으로 반응할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현상은

손실 회피 심리의 증가입니다.

그러나 피드백을 몰아서 받는다면

나쁜 뉴스를 훨씬 덜 듣게 되고

결국 위험 회피 심리가 줄어

더 부자가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내가 투자하고 있는 모든 주식의

일간(또는 주간, 나아가 월간) 동향을 모른다면

쓸데없이 금융자산 구성을

이리저리 바꾸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오랫동안 투자처를 바꾸지 않고

기존 투자에 묶여 있다면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심리학자이자 행동경제학의 창시자인

대니얼 카너먼의 '생각에 관한 생각' pp. 497-500. 에서

 

읽어보니 메리츠 자산운용의 '존리' 선생님의 견해와 유사합니다.

하락장에서 공포(Panic)에 빠지지 마시고

여러분의 마음과 시간을 지키세요

 

주주를 생각하는 건실한 회사를 싸게 사고

그 회사가 열심히 일해서 성장한다면

그 회사는 머지 않은 시간 내에

여러분께 보답할 겁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리나라 해외주식 주식투자자

매수 2위 기업

애플!

애플의 적정가치를 평가해 보았습니다.

Apple 블로그.pdf
2.38MB

컨텐츠는 개인의 의견에 불과하니

투자에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최종 투자판단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