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asdaq ETF QQQ Chart

나스닥 대표 ETF인 티커 QQQ의 차트이다.

돌이켜보면 여러가지 천정을 짐작케 하는 신호가 있었다.

1. 2021년 11월경 윗꼬리를 달고 대량거래를 수반하며 긴 음봉을 그렸다.

2. 이후 양봉보다는 긴 음봉이 두드러지며 등락을 거듭했다.

3. 2021년 11월 전고점을 깨지 못하고 고점을 낮추어왔다.

4. 2022년 1월초 5일 이평선(빨간색)이 20일 이평선을 깊은 각도로 뚫고 내려왔었다.

 

윌리엄 오닐의

"최고의 주식 최고의 타이밍(p. 258)"에 의하면

투자자는 S&P500, Nasdaq 등 시장을 매일 주의깊게 살펴야 한다.

 

일단 시장이 천정을 치면

계좌를 지키기 위해 보유 주식의 일부만이라도 현금화하고

돈을 빌려 매수한 주식은 무조건 팔아야 한다.

 

개인 투자자라면 하루나 이틀이면

보유 주식을 완전히 팔아치울 수 있다.

또 언제든지 시장이 제자리를 찾으면 다시 들어갈 수 있다.

 

만일 시장이 천정을 쳤는데도 팔지 않고 가만히 있는다면

비록 주도주에 분산 투자했더라도 급락을 피할 수 없고

몇 종목은 어쩌면 영원히 전고점을 회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최근 나스닥이 큰 거래량을 수반하며

긴 양봉을 보였다.

직전 음봉시 거래량도 상당했으므로

팔 사람을 다 팔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345 저항선을 깨고 힘차게 반등하길 기대한다.

 

그리고 다음 천장에서는 최적의 타이밍에 현금화 하길 다짐해 본다.

반응형
반응형
윌리엄 오닐의
최고의 주식 최적의 타이밍(How to Make Money in Stocks, A Winning System in Good Times or Bad)
pp. 233~238

 

주식시장 전반이 조정을 받아 하락세로 접어들면

성장주는 시장보다 더 크게 떨어진다.

예를 들어 시장이 10% 떨어지면

성장주는 15~25% 떨어진다.

이때는 성장주 중 가장 덜 떨어진 종목이 

시장 회복 후 최고의 주식이 될 가능성이 있다.

 

만일 시장이 10% 떨어졌는데

성장주가 35~40% 떨어졌다면 주의하는 것이 상책이다.

이러한 주식을 추가로 매수하는 것은

수렁으로 빠져드는 것이다.

 

손실이 7~8% 나면 무조건 손절매할 것을 권한다.

3대 1의 공식에 따라 이익으로 손실을 상쇄하라

즉 7~8%에서 손절하고 20~25% 이상에서 이익을 실현한다면

3번의 매매 중 한번만 맞아떨어져도

이익이 나며 투자를 계속할 수 있다.

이러한 원칙을 보험에 가입한 것으로 생각하라.

- 윌리엄 오닐의 성공투자법칙 pp. 70~74. -

 

어떤 주식이든 무슨일이든 벌어질 수 있다.

당신이 힘들게 번 돈을 지키려면 

확고한 원칙을 가져야 한다.

우리 누구나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

주저하지 말고 자신의 실수를 바로잡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일반 개인투자자들은

정상적인 주가 하락과

치명적인 재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대량거래를 수반한 이례적인 조정을 전혀 구분하지 못한다.

 

문제는 이들이 여기저기서 들은 이야기나

주가수익비율이 낮으면

'가치'가 있다는 식의 기본적 분석 방법에 의지했다는 점이다.

시장이 정말 어디로 흘러가는지

알려주는 주가의 움직임에는 아무런 관심을 두지 않았다.

 

정상적인 조정과 비정상적인 움직임 간의 차이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배우려는 사람이야말로

시장에 대한 훌륭한 감각을 갖고 있는 것이다.

 

시장이 말해주는 것을 무시하는 사람은

대개 큰 대가를 치른다.

값싸 보인다고 해서 떨어지는 주식을 매수하는 사람은

그렇게 하면 얼마나 많은 돈을 날릴 수 있는지

뼈저리게 배울 것이다.

 

약세장에서도 이상 강세를 보이는 주식이 있다.

정말로 애가 탈 정도로 싸게 보이는 주식이라 해도

소외주는 투자 수익을 가져다 주는 경우가 거의 없다.

시장 주도주만 주목하고 매수할 주식은 그 중에서 선정하라.

반응형
반응형

출처 : Wall Street Journal

나토와 러시아 큰 세력의 다툼에

민간인들이 울고 있다.

 

반면 연준(Fed)이 긴축을 급히 하지 못할 것이라는 기대에

자산시장은 웃고 있다.

 

투자자는 울어야 하는가 웃어야 하는가?

 

투자라는 것이 공포에 사서 행복에 파는 것이라는데

돈을 벌어서 이들을 돕는데 쓴다면

같이 울고 같이 웃을 수 있지 않을까?

반응형

반응형

< 연준 기준금리 변경 흐름 >

연월 기준금리 국채수익률(10년만기)
2009.1. 0.25  
2015.12. 0.25 -> 0.5 2.26
2016.12. 0.5 -> 0.75 2.44
2017.3. 0.75 -> 1.0 2.38
2017.6. 1.0 -> 1.25 2.3
2017.12. 1.25 -> 1.5 2.4
2018.3. 1.5 -> 1.75 2.7
2018.6. 1.75 -> 2.0 2.86
2018.9. 2.0 -> 2.25 3.06
2018.12. 2.25 -> 2.5 2.68
2019.8. 2.5 -> 2.25 1.91

2015년 12월 기준금리 인상 이후로 10년만기 국채수익률은 서서히 상승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음

장기적인 시계로 보면 아래 그래프와 같이 국채수익률은 금리인상을 선반영하는 경향이 있음

출처 : 연준 통화정책보고서

 

위와 같이 미 국채수익률은 최초 금리인상 시기인 2015년 12월 이후 2018년 9월 3.15% 최고치에 이름

아래와 같이 10년만기 국채수익률 기술적으로는 2.5% 이상이 적절할 듯

 

10물 국채금리 기술적 분석

 

TLT, TIPS에 안전하게 진입할 시점은 2.5~3%로 분할매수로 접근함이 좋을 듯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