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미국 3대 지수가 하락하다 장 후반에 급반등했다.

2022.3.16. 미국 3대 지수

 

다만 3대 지수가 2일 연속 상승하면서 큰 거래량을 동반한 것은

하락추세 반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나스닥 지수 흐름
S&P500 지수 흐름
다우지수 흐름

 

다만 나스닥에 대한 공매도 잔량(Short interest)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면

아직 시장이 하락에 대비하려는 시장의 인식도 있는 듯 하다.

나스닥 공매도

 

아직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와의 전쟁이 끝나지 않았고

물가상승에 따른 미국의 소비심리와 제조업 경기도 위축되는 상황에서

관련 악재가 돌출되어 시장이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미국 소비심리지수
미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관련 악재에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둔감하게 반응하는지

하락시 전 저점을 높이는지 잘 살펴

반등의 지속성이 유지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반응형
반응형

Nasdaq ETF QQQ Chart

나스닥 대표 ETF인 티커 QQQ의 차트이다.

돌이켜보면 여러가지 천정을 짐작케 하는 신호가 있었다.

1. 2021년 11월경 윗꼬리를 달고 대량거래를 수반하며 긴 음봉을 그렸다.

2. 이후 양봉보다는 긴 음봉이 두드러지며 등락을 거듭했다.

3. 2021년 11월 전고점을 깨지 못하고 고점을 낮추어왔다.

4. 2022년 1월초 5일 이평선(빨간색)이 20일 이평선을 깊은 각도로 뚫고 내려왔었다.

 

윌리엄 오닐의

"최고의 주식 최고의 타이밍(p. 258)"에 의하면

투자자는 S&P500, Nasdaq 등 시장을 매일 주의깊게 살펴야 한다.

 

일단 시장이 천정을 치면

계좌를 지키기 위해 보유 주식의 일부만이라도 현금화하고

돈을 빌려 매수한 주식은 무조건 팔아야 한다.

 

개인 투자자라면 하루나 이틀이면

보유 주식을 완전히 팔아치울 수 있다.

또 언제든지 시장이 제자리를 찾으면 다시 들어갈 수 있다.

 

만일 시장이 천정을 쳤는데도 팔지 않고 가만히 있는다면

비록 주도주에 분산 투자했더라도 급락을 피할 수 없고

몇 종목은 어쩌면 영원히 전고점을 회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최근 나스닥이 큰 거래량을 수반하며

긴 양봉을 보였다.

직전 음봉시 거래량도 상당했으므로

팔 사람을 다 팔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345 저항선을 깨고 힘차게 반등하길 기대한다.

 

그리고 다음 천장에서는 최적의 타이밍에 현금화 하길 다짐해 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