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발틱운임지수(BDI : Baltic Exchange Dry Index) 란?

 

발틱운임지수는

앞으로 경기가 좋아질지 나빠질지 알려주는

유용한 경제지표 중 하나이다.

https://www.chosun.com/economy/mint/2021/12/30/QGEGHEYRBRCLDGJAVYH4Y3JNKM/

 

경기둔화 신호탄? 벌크선 운임, 50일만에 61% 급락

경기둔화 신호탄 벌크선 운임, 50일만에 61% 급락 WEEKLY BIZ Market Data

www.chosun.com

 

발틱운임지수(BDI : Baltic Exchange Dry Index)는

석탄, 철광석, 시멘트, 곡물 등 원자재를 싣고

26개 주요 해상운송경로를 지나는

선적량 15천 톤 이상 선박의

화물운임과 용선료 등을 종합해 산정하는 지수이다.

배들이 원자재를 ‘얼마나 많이’ 싣고,

‘얼마나 자주’ 돌아다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다. 

 

발틱운임지수의 기원

 

발틱운임지수는 발표 주체인

영국 발틱해운거래소(Baltic Exchange)에서 유래했다.

이 거래소는 1744년 선주와 화주가 정기적으로 모이던

‘버지니아·발틱 커피하우스’에 뿌리를 두고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3485008#home

 

돈이 보이는 경제 지표 - 발틱운임지수(BDI)

항해 시대 이래 세계 경제사는 교역의 역사다. 교역은 주로 뱃길을 통해 이뤄졌다. 항공·철도·도로 운송이 나란히 발달한 현대에도 마찬가지다. 뱃길을 지켜보면 지구촌 경제가 어떻게 돌아가

www.joongang.co.kr

 

발틱운임지수의 경기선행성


운반하는 내용물이 생산의 기초가 되는 원재료이기 때문에

이 배들이 활발히 움직인다는 것은

원자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아

생산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 때문에 BDI는 경기선행지표의 역할을 한다.

 

해운업의 상관관계

 

BDI는 화물운임을 나타내는 가격지표이므로

BDI가 올라가면

해운업과 조선업의 매출이 올라 실적이 개선되므로

주가도 동행하는 경향이 있다.

음영 : BDI, 빨간색 : HMM(구 현대상선) 주가

 

우리나라는 수출의존도가 높고,

세계 조선업에서 우리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발틱운임지수의 움직임은

우리 경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음영 : 발틱운임지수, 빨간색 : 코스피20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