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경존재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역경은 우리를 몰아내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역경은 우리가 무언가를

얼마나 간절히 원하는지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있는 것입니다.

 

 

 

그것을 충분히 간절히 원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역경은 그만하라고 말합니다.

 

 

 

역경은 그런 사람들을

단념하도록 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미국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 시 소재 카네기 멜런 대학

 

 

카네기 멜런 대학

랜디 포시 교수가 

말기 암 진단을 받고 나서

마지막 강의로 축복한 말

 

 

 

 

나는 직원들이 '사장님, 이건 안 됩니다'

라고 말하는 것을 자주 듣는다.

 

'왜 안 되느냐'고 물어보면

'1~2번 시도했다'

'3개월이나 해봤다'

'1~2가지 방법을 써봤다'며 

'안 된다'고 한다.

 

 

 

사람들이 안된다고 포기한 일이라도

내가 하면 60% 정도는 '된다'.

아니 정말 '됐다'.

 

나의 문제 해결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이 아니라

1%의 가능성이라도 보이면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근성 때문이었다.

 

 

 

남들이 1~2번 하다 말고 포기하는 일을

6~7번 시도하고

남들이 한 달 하고 포기한 것을

6~8개월 시도하니

그만큼 성공확률이 높은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집념

사소한 일 하나를 처리하는 데

1만 가지 방법이 있다고 생각하는

마인드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김성오 의 

육일약국 갑시다. 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 최초의 흑인대통령이었던
넬슨만델라는

용기란 두려움이 없는것이 아니라
두려움을 이겨내는 것이라

했습니다

용기를 갖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낸다면
그리고 근성을 갖고
꾸준히 한다면

좋은일이 생기리라 믿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