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들은 당연히 오랜된 아파트보다는
새 아파트선호하는데요

환경 물질 우려는 있지만
주거를 편리하게 하는 기술,
새로운 자재와 인테리어 등이 접목되어 
살기 좋기 때문일거예요

특히, 서울은 새로 아파트를 지을 땅이 없어
재개발은 힘들고
재건축이 많이 추진될텐데요

재건축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알아보고
투자 시 잘 체크해 보도록 해요

1. 남은 용적률이 많아 일반분양분을 많이 지을 수 있는가?

가. 용적률이란?

일단 용적률은 땅 면적에 비해
몇 % 더 높게 건물을 쌓을수 있는지를 말합니다.

땅이 100㎡, 용적률 150%라면
건물 전체면적을 150㎡까지 
지을 수 있는 것이지요

 

나. 무상지분율이란?

재건축을 하게 되면
건설사가 새 아파트 제공 시
조합원이 가진 대지지분의 일정비율을
무상으로 제공하는데요

이 걸 무상지분율이라 합니다.

예를 들어
조합원 소유 대지지분이 30㎡이고
무상지분율이 150%인 경우
건축면적 45㎡(30×150%)까지
무상으로 받을 수 있어요

 

이 무상지분율은 건설사가 조합에 입찰하여
최고 무상지분율을 제시하는 건설사가
낙찰됩니다.

조합원은 무상지분율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분담금만 내고 분양받습니다.

다. 남은 용적률이 많아야 일반분양분도 많아져

그러면, 무상지분율이 크려면 
어떤 요건이 충족되어야 할까요?

조합원 분양분 외에 용적율이 많이 남아
일반분양분이 많아야
건설사가 수익을 챙기고
나머지 부분을 무상지분율 형태
조합원에게 혜택을 줄 수 있겠지요

예를 들어 
기존 아파트용적률 200%로 지어져있고
해당지역이 2종 일반주거지역이라면
법상 용적률 제한이 150250% 이하이므로
남은 용적률50%(250%-200%)예요

이렇게 남은 용적률 50% 부분에
일반분양분을 짓기 때문에
남은 용적률이 많아야
건설사의 사업성이 좋아져
무상지분률이 높아지게 되고
추가 분담금이 적게 나오며
투자하기 좋은 재건축아파트가 되는 것입니다.


<참고> 용도구역별 용적률

1종 일반주거지역(저층건물) 2종 일반주거지역(일반 아파트) 3종 일반주거지역(초고층건물)
100~200% 150~250% 200~300%

 

2. 대지지분이 많은가?

대지지분이 많아야
무상으로 받을 수 있는 건축면적이 많아져
추가분담금이 적어요.

3. 일반분양분이 비싸게 팔릴 수 있을까?

아무리 용적률이 많이 남아
일반분양분이 많아도
분양가가 높아야
건설사 수익도 많아지고
조합원 무상지분율높아질거예요

따라서 해당 아파트 입지가 좋아
일반분양분 분양가가 높게 형성될 수 있는지 
점검해야겠습니다.

4. 조망권 확보가 될까?

재건축으로 용적률이 높아져
한강 등 조망권이 확보된다면
새 아파트 로열층은 물론이고
전체 가격이 같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져요.

 

5. 통합 재건축이 가능할까?

투자대상 단지가 작으나
옆 단지랑 같이 재건축하여
1,000세대 이상 대단지가 된다면
가치가 상승할 거예요

대단지는 주변에서 잘 보이고
편의시설, 학교 등
인프라 형성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6. 재건축 분위기가 퍼지고 있는가?

옆 단지가 재건축을 하였거나
하고 있다면
이런 흐름에 편승하여
재건축을 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입니다.

7. 가격이 싼가?

부동산 활황기보다는
침체기 3~4년차 정도에 사야
보다 싸게 매입할 수 있어요.

재건축 이야기가 나온다면
이미 가격이 비쌀 것이므로
재건축 이야기가 나오지는 않으나
가능성이 있는 곳에 투자해야
싸게 매입이 가능해요

8. 임대수익률이 괜찮은가?

재건축은 오랜 시일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에
자금부담 경감, 심리적 안정을 위해
임대수익률이 은행이자보다 높은 곳에
투자하면 좋아요

 

이상으로
재건축 투자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김원철 씨의 '부동산투자의 정석'을 읽고
정리해 보았어요


열심히 공부하여
잃지않는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아파트를 투자대상으로 삼는 분은
다음 사항은 필히 체크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큰 돈이 들어가는 부동산 투자이니만큼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해
반드시 점검해 보아요

1. 대단지 인가?

1,000세대 넘는 아파트를 대단지 아파트라 합니다.

대단지는 편의시설이 많고
눈에 잘 띄여 매매나 임대에 용이합니다.

관리비가 저렴하고, 
지하철, 백화점 입점 등 주변 개발 시 소외되지 않아요

2. 학군이 좋은가?

맹모 삼천지교

좋은 친구좋은 환경에서 자녀를
공부시키고 싶은 것이 부모 마음이예요

당연히 수요가 많아 좋아요

 

< 중학교의 특목고 진학률 검색 사이트 >

http://apt2.me/apt/middle.jsp?doro=36#read/page=1&perPage=20

 

아파트실거래

아파트실거래 분양권실거래

apt2.me

 

3. 로열동, 로열층 인가?

가. 남향인가?
햇볕이 잘 들어야 건강에 좋아요

나. 상층부인가?
역시 햇볕과 전망 때문이지요

다. 소음이 없나?
여름에 창문은 열어놓고 살아야겠지요

라. 전철역 등과 가까운 동인가?
수요가 많은 로열동, 로열층이 환금성이 좋아요

4. 면적이 85㎡ 이하인가?

1~2인 가구 증가, 경제 저성장세로 인해
대형평 수요감소될 것으로 보여요

수요가 많고 관리가 용이한
85
㎡ 이하가 유리해 보입니다.

5. 역세권 인가?

'마을버스 한번 타면 금방'인 아파트는 
살다보면 편할 수 있으나
투자처로는 바람직하지 않을 듯 해요

대부분의 수요자들은 불편해 할 가능성이 큽니다.

부동산 경기 불황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역세권이 좋습니다.

6. 기반시설이 풍족한가?

의료기관, 쇼핑 등 편의시설
잘 갖추어진 곳이 좋아요

생활이 편리해야 수요가 많아요

혐오시설
도 없는 것이 좋겠지요

7. 성장성이 있나?

가. 교통호재가 있나?

나. 개발호재가 있나?

다. 지역인구가 증가하나?

http://27.101.213.4/

불러오는 중입니다...

라. 일자리 등 수요가 증가할 호재가 있나?

마. 전세가가 올라가고 있나?

위의 호재가 있다면
실수요 때문에 전세가가 상승하겠지요

8. 가격이 저렴한 시기인가?

1~7번 요건을 만족하는 물건
저렴할리가 없겠지요

가. 부동산경기가 침체기(+3년 정도)인가?

부동산 활황기보다는
싸질 때를 기다려
좋은 물건을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에서 부동산 지원정책을 펼 때입니다.

이렇게 때를 기다리기 위해서는 
다른 임대주택 전세금 인상분이나
근로소득 등의 일정 부분을 
예금, 배당주 등으로 운용하면서 
총알을 마련해 두며 기다리는 인내가 필요해요

 

나. 급매 인가?

매도인의 사정으로 급매인 경우
더욱 좋겠지요
부동산중개인 분에게 잘 말해두어
시세보다 1천만원 이상 저렴하게 매입해 보아요

열심히 임장을 하면서 
저렴하고 좋은 물건 찾는 노력이 필요해요

 

다. 전세가와 매매가 갭이 줄어들고 있나?
실수요인 전세가는 올라가고
경기가 안 좋아 매매가는 내려와
갭이 줄어드는 때가 좋은 때입니다.

https://hogangnono.com/

 

호갱노노 - 아파트 실거래가 1등 앱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와 시세를 지도에서 한눈에! 가장 많이 오른 아파트, 인기 아파트 등 아파트에 대한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

hogangnono.com

 

라. 미분양 등이 감소중인가?


시기상 과잉공급이 해소되어 가고 있어야 합니다.

http://stat.molit.go.kr/portal/cate/statFileView.do?hRsId=32&hFormId=2082&hSelectId=2082&sStyleNum=128&sStart=201906&sEnd=201906&hPoint=00&hAppr=1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담당부서 주택정책과 (장동환, ☏ 044-201-3333)

stat.molit.go.kr

 

마. 입주물량이 적은가?

입주물량이 많으면 가격이 상승할리 없겠지요

아래는 지역별 주택인허가실적, 착공실적이예요

https://www.r-one.co.kr/rone/resis/common/sub/sub.do?pageVal=page_4_6

 

RONE

 

www.r-one.co.kr

아래는 지역별 신규분양 세대수 통계예요

http://www.khug.or.kr/houstar/web/p01/03/p010304.jsp

 

민간아파트 분양시장동향 | 주택보증 통계정보 | 주택정보포털_2019 | HOUSTA 주택정보포털

 

www.khug.or.kr

 

9. 시설은 정상인가?

곰팡이(베란다 창고, 수납장), 물 흐름, 수납공간 
보일러 노후화, 전열기 작동 여부, 방문 및 마루상태
새집증후군
 등
꼼꼼해 임장해 확인해 보아요

신축 15년 이내가 좋지만
15년 이상인 경우 수리가 되었나 확인해 보아요

10. 시공사는 인지도가 있나?


같은 가격이면 브랜드 인지
높은 시공사가 좋아요

아무래도 높은 시세가 형성되요

 

이상 아파트 투자시 고려사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모두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