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계경제상황을 가장 빨리 알려주는 지표

우리나라 수출입 동향이 발표되었다.

반도체 때문이다.

특히 반도체 최대 수출시장(40.3% 차지)인

중국수출이 -46.6% 감소하였다.

 

중간재 또는 완제품을 수출하는

우리나라의 수출이 안 좋다는 것은

세계경기가 둔화되고 있다는 증거다.

 

 

1월 무역수지는 -126.9억 달러 적자다.

달러가 해외로 빠져나갔다는 것

장기적으로 생존을 위한 기업들의 노력을 부채질해 좋겠지만

단기적으로는 외국인의 우리나라 투자를 위축시켜

환율에 안 좋은 영향이 있을 수 있다.

월별 무역수지

 

품목별로 보면

EU 수출 증가 등으로 자동차는 수출이 +21.9% 증가했으나

반도체는 -44.5% 감소하였다.

현대자동차는 웃고 삼성전자는 울었다는 이야기다.

 

특이할 점은

전기차인 이차전지 수출이

전달 12월 대비 9.9% 증가했다는 점이다.

 

포스코가 제조하는 철강의 경우

글로벌 수요둔화로 철강가격이 하락하면서

수출이 감소하였으나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인프라 투자와

관련한 수출은 증가하였다.

 

에너지의 경우 150억 달러 이상의 대규모 수입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15대 품목별 수출증감

 

 

< 시사점 >

고금리, 고유가에 따른 글로벌 경기둔화가 지속중이다.

물가가 속히 안정되어

연준의 고금리 정책이 선회되지 않는 한

경기가 좋아질 것을 기대하기는 어려워보인다.

 

경기침체에 대비한 채권, 예금, 달러 등

안전자산 확대가 필요해 보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