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500 지수가
최근 많이 하락했다가
2020.3.13.(금) 밤 +10% 까지
반등했는데요

주가의 바닥은 알수 없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S&P500의 바닥을
추측해 보았습니다.

1. 장기차트 바닥 연결해보기

제가 확인할 수 있는 
최장기 데이터를 기준으로
S&P500 지수 바닥을 연결해보았습니다.

 

아래는 미국 뱅가드 회사에서 운영하는
S&P500 ETF 상품인 VOO의
20년 차트입니다.

VOO 20년 차트

2. PER 수준 보기

S&P500 PER(PE Ratio) 입니다.

PER는 (주가/1주당 이익)으로 계산하며
회사이익 대비 주식가격이 얼마나 높은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가 10인 경우
회사가 10년간 돈을 벌어야
해당 주가에 해당하는 이익에
도달한다는 것이지요

1년에 10억 버는 회사를 인수한다 가정할때
100억에 인수하면
PER를 10(100억/10억)으로 보는 겁니다.

아래 S&P500 PER를 보니
장기 평균보다는
약간 상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래는 위 지표를 볼 수 있는 링크입니다.

https://www.multpl.com/s-p-500-pe-ratio

 

S&P 500 PE Ratio

Current S&P 500 PE Ratio: 20.38 +1.71 (9.16%) 4:00 PM EDT, Fri Mar 13

www.multpl.com

3. GDP와 S&P500 지수 비교

차트 최대값 설정에 따라 다르겠지만
미국 GDP 흐름과
S&P500지수 흐름을 비교해보면
대략 S&P500지수 2,500 부근
적정가격 아닐까 합니다.

주가의 바닥을 알 수 없지만
코로나19가 경기침체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바닥을 추정해 보았습니다.

대략 한 것이니
S&P500 지수 투자에
참고만 해 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