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2년 10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년동기 대비 7.7% 상승했다.(빨간색)

 

변동성이 심한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CPI는 6.3% 상승이다.(초록색)

2022년 10월 소비자물가상승률

 

CPI 상승률 7.7%는 예측치 8.0%를 하회한 숫자다.

CPI 상승률 예측과 실제

 

CPI 상승률은 22년 6월(22.7.13. 발표) 9.1%을 정점으로 한

동안 8%대에서 머물다가

4개월만에 7%대로 내려왔다.

역사적인 날이다.

최근 2년간 CPI 상승률

 

이러한 점들이 투자자들에게

인플레이션에 대한 안도감을 준건지

주식, 암호화폐, 금, 채권 등 대부분의 자산이 급등중이다.

한국시간 2022.11.10. 11:54분 현재 자산가격

 

오랜만에 보는 폭등이나 여전히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먼저, 기준금리는 여전히 4% 수준으로

근원CPI 상승률 6.3%에 미치지 못하므로

향후 금리인상이 계속될 수 있다는 점,

달리 말하면 추세적 주가상승의 전제조건인 금리인하는

시작도 안했다는 점이다.

미국 연방기금금리(기준금리)

 

둘째,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장단기 금리가 여전히 역전되어 있다는 점,

경기침체 가능성이 높아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역전된 장단기(10-2년) 국채금리 차이

셋째, 투자자들이 낙관적이어서 주가가 단기적으로는 비싸졌다는 점이다.

CNN의 Fear & Greed 지수

 

넷째, 석유파동 등으로 인플레이션이 만연했던 1970년대에 비하면

미국 주식의 PER는 여전히 높다는 점이다.

미국주식 역사적 PER

 

다섯째, S&P500차트상 일봉이 100일 이동평균선을 터치하고 있기는 하지만

5일선, 20일선은 여전히 100일선 밑에 있고

200일선도 여전히 하향세라는 점이다.

S&P500 일봉차트
이동평균선 범례

 

조심 또 조심해야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