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올해 12월 26일은 

기업들이 배당금을 주는 기준일인데요

1년 중 이날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에게만

내년 4월경 배당금을 준답니다.

 

기준일 다음날인 오늘은

주가가 하락했는데요

이것을 배당락이라 합니다.

 

요즘 미국주식 투자가 많은 만큼

한국기업 KT&G

미국기업 AT&T 사례를 통해

배당락의 의미,

양국의 차이점 등을 알아보아요

 

1. 한국주식 KT&G 사례

 

KT&G 는 배당금을 많이 주는데요

12.26.(기준일) 주가가 97,600원이었는데

12.27(배당락일) 94,300원으로

-3.38%가 하락했어요

즉, 3.38% 배당락이 발생했어요

 

그러면 왜 주가가 하락할까요?

12월 26일 배당금을 받을 수 있게된 주주들이

12.27일 주식을 팔기 때문이지요

 

그러면 왜 -3.38% 하락했을까요?

 

이는 올해(2019년) 4월 배당수익률

+3.7%였던 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예를 들어

KT&G 1주를 배당기준일인 12.26. 들고 있으면

내년 4월에 +3.7%(위 배당수익률)를 받을 것이고

다음날(12.27.) 위 -3.38% 하락한 가격에 팔아도

+0.32%(3.7%-3.38%)는 이익이지요

하지만, 주식거래 수수료

매수와 매도 시 각각 (무료~0.2%) 수준

매도 시 증권거래세0.25%인 점을 감안하면

총 비용0.65%[0.2%×2회(매수,매도)+0.25%]이므로

이익이 나지 않게 됩니다.

(이익 +0.32% < 비용 -0.65%)

 

이익이 나지 않게 될때까지

하락하는 것이지요

 

기업 사정안 좋으면

더 하락하는 경우도 있답니다.

 

시장은 이렇게 정확하네요

공짜가 없습니다. ^^

 

참고로

올해 4월 배당수익률(시가배당률) +3.7%

어떻게 계산된 것인지 알아보아요

 

KT&G는 올해 4월 배당금

1주당 4,000원을 주었는데요

배당기준일(2018.12.26) 주가

1주당 105,500원 이었거든요

즉, 4,000원 배당금 주는 주식을

105,500원에 구매했으므로

배당수익률(시가배당률)이 3.7%

(4,000원/105,500원)가 됩니다.

 

요즘 시중은행 이자율

1~2% 수준임을 감안하면

약 2배 이상이네요

 

그렇다고 무턱대고 

주식을 사면 안되구요

 

차트, 수급상황, 기업의 사업내용, 미래 전망 등을

철저히 분석하여

향후 기업이 돈을 잘 벌수 있고

현재 주가가 실제 가치보다

저렴한지 판단한 다음

대출없이 사는게 좋다고 합니다.

마치 아파트을 살 때

여러가지를 고려하는 것 처럼 말이지요

 

배당만 믿고 샀다가 

주가가 많이 하락하면

큰일이겠지요..ㅜㅠ

 

2. 미국 주식 AT&T 사례

 

우리나라 기업은

배당을 대부분 1년에 1번(4월) 주는데 반해

미국은 1년에 4번(3개월마다) 주는 기업이 많아요

보다 주주 친화적이지요

 

아래는 미국 통신회사 AT&T 주식

배당금 지급현황이예요

배당수익률연간 5~6%라는 점이 놀라워요

 

배당락일인 2019.10.9. 현재

아래 그림의 주가를 보면

기준일인 전날보다

-1.15% 하락한 것을 알수 있어요

 

연간 배당수익률 +5.32%

배당주는 횟수 4번으로 나누니

1회 배당수익률이 +1.33%이고

이와 유사하게 하락한 것을 알수 있어요

 

요즘 미국 주식시장이 좋다보니

다음날인 10.10.

다시 +1%가 회복되었네요

꿩먹고 알먹고 부럽습니다. ^^

 

이상 한국과 미국

배당락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여러분 부자되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