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의 역사를 이해하면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
특히 경제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고

앞으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아는데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오건영 선생님
책을 보고 요약
한,미,일 금융의 역사입니다.

 

1976년대 석유파동으로 국제유가 상승, 물가상승으로 인플레이션 시대
미 연준(FED) 의장 폴 볼커(Paul Volker) 인플레이션 방어를 위해 기준금리 인상(76년 5->20%)으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경기둔화, 이자 부담 등으로 미 중소기업 40% 도산, 실업증가
미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경기부양 위해 감세, 연준(FED) 기준금리 인하
미 재정, 무역 쌍둥이 적자 감세로 재정적자, 일본 및 서독 자동차 수출 등 무역적자
플라자 합의(1985.9월) 미국 무역적자 해소 위해 일본 엔화 2배 절상
일본 수출가격 경쟁력 하락으로 한국 수출 반사이익
루브르 합의(1987.2월) 미국산 수입여력 확대를 위한 일본, 서독 내수부양을 위해 일본 금리인하, 미국 무역적자 감소
블랙먼데이(1987.10.19.) 일본, 서독 금리인하에 따른 자산가격 거품 발생 억제 위해 금리인상 단행 -> 수요위축 우려미 증시 폭락(20%)
일본 부동산 버블 용인
1990년 일본 기준금리 인상(2.5->6%) 및 버블붕괴, 소비심리 위축으로 장기간 디플레이션
고베 대지진 일본 보험사 보험료 지급위한 해외자산 매각, 엔화 매입으로 엔화 절상, 어려움 가중
역플라자 합의(1995.4.) 강대국 엔화약세 용인, 상대적으로 한국 수출경쟁력 약화 및 대출 과다기업 도산
미국경제 성장으로 FED 기준금리 인상 및 한국에서 미국으로 자본유출로 한국 IMF 구제금융 신청(1997년)
이후 한국기업 투자 위축으로 기업대출 감소, 가계대출 증가, 한국은행 경기부양 위해 기준금리 인하, 부동산 가격 상승
2011.3월 동일본대지진 보험료 지급위한 엔화 강세, 한국 수출경쟁력 강화, 한국 차화정(자동차, 화학, 정유) 위주 주가 상승
2012년 아베노믹스 물가상승 2% 달성 위한 무제한 양적완화
2018 미중 무역분쟁, 금리인상 철회 미 주가 상승, 중국 주가하락

위 역사를 보면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세계경제에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전 세계가 달러화를 주어
석유 등 원자재를 사고
물건을 만든 다음
미국에 팔아서 달러화를 다시 받습니다.

세계경제의 혈액이라 할 수 있는 달러

만일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올려
전세계에 돌고 있는 달러를
미국으로 빨아들인다면
세계경제가 안 좋아지겠지요

미국이 2018년 기준금리 인상을 철회하여
세계경제가 나빠질
중대요인은 하나 사라졌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만 정리되면
앞으로 우리 경제에도
좋은 일이 생기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