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의 역사를 이해하면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
특히 경제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고
앞으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아는데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오건영 선생님의
책을 보고 요약한
한,미,일 금융의 역사입니다.
1976년대 | 석유파동으로 국제유가 상승, 물가상승으로 인플레이션 시대 |
미 연준(FED) 의장 폴 볼커(Paul Volker) | 인플레이션 방어를 위해 기준금리 인상(76년 5->20%)으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경기둔화, 이자 부담 등으로 미 중소기업 40% 도산, 실업증가 |
미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 경기부양 위해 감세, 연준(FED) 기준금리 인하 |
미 재정, 무역 쌍둥이 적자 | 감세로 재정적자, 일본 및 서독 자동차 수출 등 무역적자 |
플라자 합의(1985.9월) | 미국 무역적자 해소 위해 일본 엔화 2배 절상 일본 수출가격 경쟁력 하락으로 한국 수출 반사이익 |
루브르 합의(1987.2월) | 미국산 수입여력 확대를 위한 일본, 서독 내수부양을 위해 일본 금리인하, 미국 무역적자 감소 |
블랙먼데이(1987.10.19.) | 일본, 서독 금리인하에 따른 자산가격 거품 발생 억제 위해 금리인상 단행 -> 수요위축 우려에 미 증시 폭락(20%) 일본 부동산 버블 용인 |
1990년 | 일본 기준금리 인상(2.5->6%) 및 버블붕괴, 소비심리 위축으로 장기간 디플레이션 |
고베 대지진 | 일본 보험사 보험료 지급위한 해외자산 매각, 엔화 매입으로 엔화 절상, 어려움 가중 |
역플라자 합의(1995.4.) | 강대국 엔화약세 용인, 상대적으로 한국 수출경쟁력 약화 및 대출 과다기업 도산 미국경제 성장으로 FED 기준금리 인상 및 한국에서 미국으로 자본유출로 한국 IMF 구제금융 신청(1997년) 이후 한국기업 투자 위축으로 기업대출 감소, 가계대출 증가, 한국은행 경기부양 위해 기준금리 인하, 부동산 가격 상승 |
2011.3월 동일본대지진 | 보험료 지급위한 엔화 강세, 한국 수출경쟁력 강화, 한국 차화정(자동차, 화학, 정유) 위주 주가 상승 |
2012년 아베노믹스 | 물가상승 2% 달성 위한 무제한 양적완화 |
2018 미중 무역분쟁, 금리인상 철회 | 미 주가 상승, 중국 주가하락 |
위 역사를 보면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세계경제에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전 세계가 달러화를 주어
석유 등 원자재를 사고
물건을 만든 다음
미국에 팔아서 달러화를 다시 받습니다.
세계경제의 혈액이라 할 수 있는 달러
만일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올려
전세계에 돌고 있는 달러를
미국으로 빨아들인다면
세계경제가 안 좋아지겠지요
미국이 2018년 기준금리 인상을 철회하여
세계경제가 나빠질
중대요인은 하나 사라졌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만 정리되면
앞으로 우리 경제에도
좋은 일이 생기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
'증권 투자 > 경제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앞으로 경기가 좋아질까? 나빠질까? (0) | 2020.02.27 |
---|---|
원달러 환율 변동 요인, 달러 싸질때 조금씩 사보자 (0) | 2020.02.09 |
헤지펀드(hedge fund)와 뮤츄얼펀드(mutual fund)의 차이 (0) | 2020.01.04 |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로 예금, ETF 절세하기 (2) | 2020.01.01 |
(연말기준) 내가 대주주? 주식 '양도소득세' 납부해야 하나? (0) | 201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