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달러의 강세 정도는?

2022.3.13. 현재 미국 달러지수는 99.13으로

100을 눈 앞에 두고 있다.

역시 전고점은 

2020년 3월 103이다.

미국 달러지수 선물 주봉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의 인플레이션에 대응한

첫 금리인상을 앞두고

강달러가 지속되고 있다.

https://kr.investing.com/currencies/us-dollar-index

 

미국 달러 지수 - Investing.com

일부 외국 통화들에대한 미국 달러의 가치를 측정하는 미 달러 지수 (USDX)

kr.investing.com

 

원/달러 환율은?

최근 원달러 환율은

1,237.08원으로 많이 상승했다.

전 고점은 2020년 3월 1,293원으로

전고점 회복에는

56원(4.5%) 추가 상승을 남기고 있다.

원/달러 환율 추이

전고점인 2020년 3월은

당시 펜데믹으로 영향으로

모두가 두려움에 떨며

오직 달러만 찾던 시기이다.

https://kr.investing.com/currencies/usd-krw

 

USD KRW | 미달러 원 환율 - Investing.com

USD/KRW 미달러 원 환율 실시간 스트리밍 차트, 변환기와 기술 분석

kr.investing.com

 

원/달러 환율 전망은?

 

환율의 결정 메커니즘

 

환율은

두 나라의 화폐의 교환비율로서

양 국의 경제성장통화 발행량(화폐가치)

반영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제성장이 높고

달러발행량이 적은 경우

성장성이 높은 미국 달러의 수요가 많아지고

달러의 희소성이 높아지므로

달러가 강세로 가는 것이다.

 

원자재 가격상승 여파

 

현재 미국과 우리나라를 바라볼 때

먼저 성장성 측면에서 비교해 보면

원자재를 수입하여 제품을 생산 및 수출하는

우리나라로서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기업의 수지악화를 피하기는 어려워보인다.

 

우리나라의 수출

 

또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금리가 인상되어

소비여력이 저하되면

우리나라 제품의 수입도 줄일 것이므로

우리나라의 매출성장에도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는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미국의 긴축

 

통화발행량 측면에서 보면

미국은 테이퍼링을 종료하고

금리인상을 하며 긴축으로 가고 있고

우리나라도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311139800009

 

미국 연준, 3년만에 금리인상 나선다…15∼16일 FOMC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3년여 만에 기준금...

www.yna.co.kr

다만 한은의 과도한 금리인상은

경기를 위축시키므로

무작정 금리를 올리기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50758#home

 

한은 기준금리 1.25% 동결…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 3.1%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25%로 동결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4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2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

www.joongang.co.kr

 

베스트 시나리오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종료되고

원자재와 공급망 문제가 해결되며

몇차례 금리인상으로

조기에 인플레이션이 잦아들어

미국 소비와 우리나라 수출이 확대되는 것이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협상을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의미있는 결론은 도출되지 못하고 있다.

 

환율 예측

 

모 경제분석 회사는

원 달러 환율을

이달 말까지 1,240원으로

 

향후 12개월 동안

1,260원까지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예측이 맞다면

약 23원(약 1.8%) 추가상승을 앞두고 있는 것이다.

https://tradingeconomics.com/south-korea/currency

 

South Korean Won - 2022 Data - 1992-2021 Historical - 2023 Forecast - Quote - Chart

The South Korean won continued to depreciate in the second week of March, hitting 1230 against USD, the lowest since May 2020 amid general dollar strength and as surging oil prices triggered by the war in Ukraine are intensifying inflationary pressure. Sou

tradingeconomics.com

 

당분간 원달러 환율의 상승은

피하기 어렵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해 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