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통화정책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데요

연방준비은행의 모임인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에서는
정기적으로 FOMC 회의를 열어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미국 기준금리는 미국의 물가안정을 목표로 
조정되는데요

달러가 전세계 기축통화(석유 등 매입시 사용)인 관계로
그 영향은 전세계 금융시장에 미칩니다.

연준 의장 제롬 파월

특히 미국이 금리를 내리면
다른 나라들이 금리를 내릴 수 있어
불경기에 대응할 수 있는데요

대신 돈 가치가 하락해
부동산, 주식 등 실물자산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대출이 발생하게 되므로
자산가격에 거품이 발생합니다.

우리나라 주택매매가격 지수

아래는 미 기준금리 추이인데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거의 0%에 가깝습니다.

전세계 주식과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입니다

미 연준 기준금리 추이


반대로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높은 이자를 쫓아
전세계 달러들이 미국으로 향하게 되어
다른 나라들은 달러가 부족해 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러면, 석유 등을 못사게 되어
경제가 어려워지므로
다른 나라들은 똑같이 금리를 인상할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게 되면
우리나라도 기준금리를 올려야하고

부동산에 대한 가계대출이 많은 상황에서
가계의 이자부담이 올라가고
이를 견디지 못해
부동산 급매가 많아져
부동산 가격하락과 함께
부동산 담보대출은 해준
은행이 부실해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우리나라 가계대출 추이

이렇듯 세계경제에 영향을 주는
2020년 FOMC 일정입니다.
거의 1~2개월 간격을 두고 열리네요

(1차) 1.28~29, (2차) 3.3 (3차) 3.17 (4차) 4.28~29
(5차) 6.9~10 (6차) 7.28~29 (7차) 9.15~16
(8차) 11.4~5  (9차) 12.15~16

아래는 미 연준 링크입니다.

https://www.federalreserve.gov/monetarypolicy/fomccalendars.htm

 

The Fed - Meeting calendars and information

Please enable JavaScript if it is disabled in your browser or acces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links provided below. Meeting calendars, statements, and minutes (2015-2020) The FOMC holds eight regularly scheduled meetings during the year and other meetin

www.federalreserve.gov

경제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금융의 역사를 이해하면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
특히 경제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고

앞으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아는데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오건영 선생님
책을 보고 요약
한,미,일 금융의 역사입니다.

 

1976년대 석유파동으로 국제유가 상승, 물가상승으로 인플레이션 시대
미 연준(FED) 의장 폴 볼커(Paul Volker) 인플레이션 방어를 위해 기준금리 인상(76년 5->20%)으로 물가는 안정되었으나, 경기둔화, 이자 부담 등으로 미 중소기업 40% 도산, 실업증가
미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경기부양 위해 감세, 연준(FED) 기준금리 인하
미 재정, 무역 쌍둥이 적자 감세로 재정적자, 일본 및 서독 자동차 수출 등 무역적자
플라자 합의(1985.9월) 미국 무역적자 해소 위해 일본 엔화 2배 절상
일본 수출가격 경쟁력 하락으로 한국 수출 반사이익
루브르 합의(1987.2월) 미국산 수입여력 확대를 위한 일본, 서독 내수부양을 위해 일본 금리인하, 미국 무역적자 감소
블랙먼데이(1987.10.19.) 일본, 서독 금리인하에 따른 자산가격 거품 발생 억제 위해 금리인상 단행 -> 수요위축 우려미 증시 폭락(20%)
일본 부동산 버블 용인
1990년 일본 기준금리 인상(2.5->6%) 및 버블붕괴, 소비심리 위축으로 장기간 디플레이션
고베 대지진 일본 보험사 보험료 지급위한 해외자산 매각, 엔화 매입으로 엔화 절상, 어려움 가중
역플라자 합의(1995.4.) 강대국 엔화약세 용인, 상대적으로 한국 수출경쟁력 약화 및 대출 과다기업 도산
미국경제 성장으로 FED 기준금리 인상 및 한국에서 미국으로 자본유출로 한국 IMF 구제금융 신청(1997년)
이후 한국기업 투자 위축으로 기업대출 감소, 가계대출 증가, 한국은행 경기부양 위해 기준금리 인하, 부동산 가격 상승
2011.3월 동일본대지진 보험료 지급위한 엔화 강세, 한국 수출경쟁력 강화, 한국 차화정(자동차, 화학, 정유) 위주 주가 상승
2012년 아베노믹스 물가상승 2% 달성 위한 무제한 양적완화
2018 미중 무역분쟁, 금리인상 철회 미 주가 상승, 중국 주가하락

위 역사를 보면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세계경제에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전 세계가 달러화를 주어
석유 등 원자재를 사고
물건을 만든 다음
미국에 팔아서 달러화를 다시 받습니다.

세계경제의 혈액이라 할 수 있는 달러

만일 미국에서 기준금리를 올려
전세계에 돌고 있는 달러를
미국으로 빨아들인다면
세계경제가 안 좋아지겠지요

미국이 2018년 기준금리 인상을 철회하여
세계경제가 나빠질
중대요인은 하나 사라졌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만 정리되면
앞으로 우리 경제에도
좋은 일이 생기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