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소기업은 대부분의 고용을 창출하고

부품 소재 등 부가가치 창출의 근간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그 생명은 자본부족, 경쟁심화, 사회변화 등으로

대부분 5년을 넘기기 어렵다

2021.12.28. 자 한국무역협회 뉴스



경영학의 아버지 피터 드러커는

중소기업의 생존을 위한

그들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중소기업의 문제점



첫째 대기업과 달리 기술자 등

유능한 직원의 도움을 받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대기업보다는 처우가 미흡하여

근무를 꺼리기 때문이다

둘째 기업의 간부도 육성하기 용이하지 않다

규모가 작아 간부들이 있어도

이들에게 도전목표나 경영권한을 제공하기도 어렵다



셋째 가족기업의 태생적 문제점이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원가절감, 가족애 등의 이유로 가족기업이 상당하다

경영능력이 없는 가족에게

감당할수 없는 직위와 권한을 부여한다면

그 사업부문은 대개 잘못되기 마련이다.



더욱 큰 문제는 가족이 아닌 유능한 직원들이

실망하게 된다는 점이다

그들은 경쟁회사로 가거나

일을 열심히 하지 않는다

 

넷째 CEO의 시야가 좁고

외부와의 접촉이 상대적으로 적어

기술과 경제의 변화에 대처하지 못할 위험이 크다.



CEO는 자신의 경영조직상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생존을 위한 분석과 계획설정보다는

직관적으로 경영하거나 탁상공론하기 쉽다.

해결방안



첫째 중소기업간 인수합병을 통해 규모를 키워야한다

다만 이 경우 가족기업의 경영권이 위험할수도 있으나

기업의 존속을 위해 고려할만하다

2022.11.10. 한경글로벌마켓 기사



둘째 CEO의 안목을 넓히기 위해

이사회에 사외이사 등 외부인사를 영입하여야 한다.

 

셋째 가족기업의 경우 실력으로

획득한 자리가 아니면

가족에게 어떠한 직위를 주지 않는다는

경영원칙을 채택해야만 한다.

가족이 어렵다면 돈을 주고

제품원가를 조금 올리는 것이 낫다.


예를 들어 무능한 가족에게 판매관리자라는 직위를 준다면

시장을 잃거나 유능한 직원을 놓치게 될 것이다.

넷째 행동이나 결정을 빠르게 하기 위해

경영분석, 계획 등을 서둘러서는 안된다.

CEO는 간부회의를 열어

매년 1주일정도 시간을 내어

경영계획을 수립하고 검토하자.

그 자리에서 간부들의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5년간 목표를 수립하자.



- 피터드러커의 '경영의 실제' pp. 352-355.에서 -

반응형

+ Recent posts